총괄목표
건강수명(Healthy Life Expectancy) 연장 한눈에 보기
건강수명 지표정의
-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기간으로 ‘얼마나 건강하게 오래사는가’에 초점을 두고 산출
현황
- ’18년 기준 건강수명은 70.4세(남성 68.3세, 여성 72.4세)
- ’08년~’18년까지 지난 11년간 1.54세 증가(남성 1.78세, 여성 1.37세)
- (추계) ’30년 건강수명은 73.3세로 예상(남성 71.4세, 여성 75.0세)
- ’18~’30년까지 향후 12년간 2.9세 증가 예측(남성 3.1세, 여성 2.6세)
- (WHO 기준 건강수명) ’16년 현재 73세, ’05년~’16까지 11년간 3.1세 증가(남성 3.5세, 여성 2.9세)
- ’18~’30년까지 향후 12년간 2.9세 증가 예측(남성 3.1세, 여성 2.6세)
- (성별) 건강수명 격차는 ’08년 4.53세 -> ’18년 4.12세로 감소하였으며 평균 4.32세, ’30년 성별 격차는 3.6세 예상
HP 2030년 건강수명 자료원 변경 : WHO → 국내 연구결과
- HP2020는 ’20년까지 건강수명 75세 달성 목표(WHO 기준, ’16년 73세)
- 그러나 WHO 건강수명은 산출주기 불명확, 근거 불투명 등 문제가 있고, 국내 소득·지역간 건강수명 격차 모니터링이 어려움
- HP2030부터는 자료원을 국내 건강수명 연구*를 활용하여 기준 및 목표 조정
- 윤석준 등(2020). 정밀공중보건 구현을 위한 한국인의 건강수준 측정 플랫폼 개발 연구
구분 | 2008 | 2009 | 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2017 | 2018 | 2030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건강수명 전체 | 68.9 | 69.0 | 69.2 | 69.2 | 69.0 | 69.7 | 70.1 | 70.6 | 70.6 | 70.8 | 70.4 | 73.3 |
건강수명 남자 | 66.5 | 66.7 | 66.8 | 66.8 | 66.7 | 67.4 | 67.8 | 68.3 | 68.3 | 68.6 | 68.3 | 71.4 |
건강수명 여자 | 71.0 | 71.1 | 71.2 | 71.3 | 71.0 | 71.7 | 72.1 | 72.5 | 72.5 | 72.7 | 72.4 | 75.0 |
1. 2030년 건강수명 예측치는 R&D 연구결과(’08-’18 산출치)를 토대로 GLM(Generalized Linear Model)을 활용하여 산출된 결과임
2. 2012년, 2018년의 건강수명 감소는 기대수명 증가 대비 총 청구건수 증가(의료이용량증가)가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으로 분석
건강수명 목표치구분 | 목표치 | |
---|---|---|
건강수명 | ’30년(추계) | (전체) 73.3세 (95% CI : 72.2∼74.4) |
목표치 설정 | “2030년 건강수명을 73.3세까지 달성한다.” [모니터링] 남성 : 71.4세 여성 : 75.0세 |
자료원
- 윤석준 등(2020). 정밀공중보건 구현을 위한 한국인의 건강수준 측정 플랫폼 개발 연구*
* R&D 연구로 산출하였던 건강수명 지표를 지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조직 및 인력체계 구축 및 공신력 있는 국가승인통계 생산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예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