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
대표지표

대표지표
  • 24개 중점과제별 대표지표 64개 선정
    • *성별 구분 없이 총 17개 지표
  • 대표지표에 대한 성, 소득, 지역 격차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형평성 지표 49개 선정(성별 25개, 소득 1개, 지역 3개, 성별·소득 16개, 성별·지역 4개)
  • 성별25
  • 소득1
  • 지역3
  • 성별·소득16
  • 성별·지역4
<대표지표 선정원칙>
  • 모든 중점과제별 1개 이상 대표지표 선정(단, 6분과 인프라 과제 제외)
  • 중장기 계획 성격에 따라 가능한 ‘결과지표’ 중심으로 선정하되, 중점과제 특성에 따라 과정지표 포함
  • HP2030부터는 자료원을 국내 건강수명 연구*를 활용하여 기준 및 목표 조정
  • 제4차 계획의 15개 중점과제 및 19개 대표지표 지속 유지

    단, 환경변화 및 국제적 건강정책 경향에 맞게 일부 지표명 변경

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(HP2030) 대표지표
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(HP2030) 대표지표 - 중점과제, 대표지표(지표명, '18, '30), 형평성지표(지표명, '18, '30) 항목으로 구성
중점과제 대표지표 형평성지표
지표명 ’18 ’30 지표명 ’18 ’30
금연 성인남성 현재흡연율(연령표준화) 36.7% 25.0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현재 흡연율 격차(연령표준화) 9.1%p 8.0%p
성인여성 현재흡연율(연령표준화) 7.5% 4.0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현재 흡연율 격차(연령표준화) 7.5%p 5.0%p
절주 성인남성 고위험음주율(연령표준화) 20.8% 17.8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고위험음주율 격차(연령표준화) 1.8%p 0.7%p
성인여성 고위험음주율(연령표준화) 8.4% 7.3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고위험음주율 격차(연령표준화) 2.3%p 1.2%p
영 양 식품 안정성 확보 가구분율 96.9% 97.0% 소득 1-5분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율 격차 11.4%p 7.0%p
신체활동 성인남성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(연령표준화) 51.0% 56.5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격차(연령표준화) 9.2%p 7.0%p
성인여성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(연령표준화) 44.0% 49.3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격차(연령표준화) 5.9%p 3.7%p
구강건강 영구치(12세) 우식 경험률 56.4% 45.0% -
자살예방 자살사망률(인구 10만명당) 26.6명 17.0명 -
남성 자살사망률(인구 10만명당) 38.5명 27.5명 지역 상-하위 20%의 남성 자살사망률 격차 (인구 10만명당) 19.1명 12.2명
여성 자살사망률(인구 10만명당) 14.8명 12.8명 지역 상-하위 20%의 여성 자살사망률 격차 (인구 10만명당) 8.9명 5.7명
치 매 치매안심센터의 치매환자 등록·관리율(전국 평균) 51.5%(’19) 82.0% 지역 상-하위 20% 치매안심센터의 치매환자 등록·관리율 격차 52.2%p(’19) 35.0%p
중 독 알코올 사용장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 12.1%(’16) 25.0% -
지역사회 정신건강 정신건강 서비스이용률 22.2%(’16) 35.0% -
성인남성(20-74세) 암 발생률(인구 10만명당, 연령표준화) 338.0명('17) 313.9명 지역 상-하위 20%의 성인남성 암 발생률 격차(인구 10만명당, 연령표준화) 78.3명('17) 62.6명
성인여성(20-74세) 암 발생률(인구 10만명당, 연령표준화) 358.5명('17) 330.0명 지역 상-하위 20%의 성인여성 암 발생률 격차(인구 10만명당, 연령표준화) 97.3명('17) 70.4명
심뇌혈관질환 성인남성 고혈압 유병률(연령표준화) 33.2% 32.2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고혈압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5.4%p 4.4%p
성인여성 고혈압 유병률(연령표준화) 23.1% 22.1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고혈압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8.5%p 7.5%p
성인남성 당뇨병 유병률(연령표준화) 14.2% 13.2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당뇨병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4.4%p 3.4%p
성인여성 당뇨병 유병률(연령표준화) 9.1% 8.1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당뇨병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5.0%p 4.0%p
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발병 후 3시간 미만 응급실 도착 비율 45.2% 50.4%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발병후 3시간 미만 응급실 도착비율의 최고-최저 시도간 격차 23.0%p 17.5%p
비 만 성인남성 비만 유병률(연령표준화) 42.8% ≤42.8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비만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1.1%p 0.0%p
성인여성 비만 유병률(연령표준화) 25.5% ≤25.5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비만 유병률 격차(연령표준화) 15.6%p 4.6%p
손 상 손상사망률(인구 10만명당) 54.7명 38.0명 -
감염병 예방 및 관리 신고 결핵 신환자율(인구 10만명당) 51.5명 10.0명 -
감염병 위기 대비대응 MMR 완전접종률 94.7%(’19) ≥95.0% -
기후변화성 질환 기후보건영향평가 평가체계 구축 및 운영 - 구축 완료
영유아 영아사망률(출생아 1천명당) 2.8명 2.3명 영아사망률 최고-최저 시도간 격차(출생아 1천명당) 2.4명 1.2명
아동·청소년 고등학교 남학생 현재흡연율 14.1% 13.2% -
고등학교 여학생 현재흡연율 5.1% 4.2% -
여 성 모성사망비(출생아 10만명당) 11.3명 7.0명 -
노 인 노인 남성의 주관적 건강인지율 28.7% 34.7% 소득 1-5분위 노인 남성의 주관적 건강인지율 격차 15.6%p 13.2%p
노인 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지율 17.6% 23.6% 소득 1-5분위 노인 여성의 주관적 건강인지율 격차 5.9%p 3.5%p
장애인 성인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64.9%('17) 69.9% 성인남성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66.6%('17) 71.6%
성인여성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62.5%('17) 67.5%
근로자 연간 평균 노동시간 1,993 시간 1,750 시간 -
군인 군 장병 흡연율 40.7%(’19) 33.0% -
건강정보 이해력 제고 성인남성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- 70.0% 소득 1-5분위 성인남성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격차 - 6.0%p
성인여성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- 70.0% 소득 1-5분위 성인여성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 격차 - 10.0%p
  • 대상년도 : 2018년*~2030년 *HP2030 수립당시 기준년도
  • 평가방법 : ①달성, ②개선, ③유지, ④악화, ⑤평가불가
금연 성인 남자 현재 흡연율(표준화)
개요
성인남자 현재 흡연율 표준화에 대한 지표현황및 목표치에 대한 내용입니다.
중점과제 지표명 지표현황 및 목표치 달성도 변화율 현황
기준(2008) 최근(2018) 목표(2020)
금연 성인 남자 현재흡연율(표준화)(%) 47.8 36.7 29.0 - - -
현황
  • 중점과제 절주
  • 목표 2-1. 국가알코올 소비량을 감소시킨다.
  • 지표명(표준화율) 성인남자월간음주(표준화)감소(%)
  • 지표현황 및 목표치에 대한 내용입니다.
    2008 -
    2009 -
    지표현황 및 목표치
    지표현황 및 목표치에 대한 내용입니다.
    년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0목표
    기준치 및 목표치 74.7 75.8 77.8 77.7 73.6 75.3 74.4 75.2 75.3 - - - - 74.7
  • 지표정의 최근 1년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한 분율
  • 자료출처 국민건강영양조사(보건복지부·질병관리본부)